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용어

자산유동화란 무엇인가?

by WABI SABI 2023. 11. 10.
반응형
SMALL

자산유동화란 무엇인가?

 

 

자산유동화란?

부동산 자산유동화란 부동산 개발, 운영, 임대 등과 관련된 자산이나 수익을 증권화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자산 보유자는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는 크게 부동산 직접 증권화와 부동산 간접 증권화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직접 증권화란 부동산 자체를 증권화하는 방식으로, 부동산 신탁증권, 부동산투자회사, 부동산투자신탁 등이 있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부동산의 소유권이나 수익권을 직접 가지게 됩니다.
  • 부동산 간접 증권화란 부동산과 관련된 채권이나 수익을 증권화하는 방식으로, 주택저당채권, 부동산개발 PF ABS, 자산담보부기업어음 등이 있습니다. 이 경우, 투자자는 부동산의 소유권이나 수익권을 간접적으로 가지게 됩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의 장점과 단점

부동산 자산유동화는 자산 보유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다양한 장점을 제공합니다. 자산 보유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자금 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발행된 증권은 일반 채권보다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증권의 신용도가 자산 보유자의 신용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증권의 신용도를 높이기 위해 신용보강이나 선․후순위 채권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재무 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자산을 매각하면, 자산과 부채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을 매각한 후에도 자산의 운영권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산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자산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부동산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으로, 판매나 매입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듭니다. 하지만,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증권화하면, 증권 시장에서 쉽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발행된 증권은 부동산의 수익이나 가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배분받습니다. 또한, 증권의 신용도가 높고, 신용보강이나 선․후순위 채권 등의 방법으로 위험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
  • 투자 기회를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발행된 증권은 부동산의 종류, 지역, 규모,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적과 성향에 맞는 증권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자산유동화에도 일부 단점이 있습니다. 자산 보유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자산의 통제권을 잃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증권을 발행하면, 자산의 소유권과 운용권이 증권의 구매자에게 이전되기 때문에, 자산 보유자는 자산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 자산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증권을 발행하면, 자산의 가치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만약 증권의 수요가 감소하거나, 자산의 신용도가 하락하면, 자산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증권 구매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 증권의 위험도가 높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발행된 증권은 일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상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이 불안정하거나, 자산의 수익성이 감소하면, 증권의 가치가 하락하거나, 증권의 원금과 이자를 상환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증권의 유동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자산유동화를 통해 발행된 증권은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투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증권의 유동성이 낮을 수 있습니다. 즉, 증권을 팔고 싶을 때 쉽게 매도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금성이란 무엇인가?  (0) 2023.11.10
권리분석이란 무엇인가?  (0) 2023.11.10
근린상가란 무엇인가?  (0) 2023.11.10
PF 브릿지론이란 무엇인가?  (0) 2023.11.10
주거권이란 무엇인가?  (0) 202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