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건물기준시가란 무엇인가?
건물기준시가란?
건물기준시가는 국세청이 고시하는 건물의 시가를 말합니다. 건물기준시가는 세금을 부과하거나,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임대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때 사용됩니다. 건물기준시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건물기준시가 계산방법
- 기준시가 = 평가대상 건물의 면적 (㎡) × ㎡당 금액
- ㎡당 금액 = 건물신축가격기준액 × 구조지수 × 용도지수 × 위치지수 × 경과연수별잔가율 × 개별건물의 특성에 따른 조정률
건물기준시가 계산요소
- 건물신축가격기준액 : 건물의 구조와 용도에 따라 국세청이 고시하는 건물의 신축가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에 고시된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은 740,000원입니다.
- 구조지수: 건물의 구조에 따라 적용되는 지수로, 철근콘크리트구조가 1.0이고, 그 외의 구조는 0.8입니다.
- 용도지수: 건물의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지수로, 주거용이 .0이고, 비주거용은 0.9입니다.
- 위치지수: 건물의 위치에 따라 적용되는 지수로, 도로와의 거리, 주변환경, 층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경과연수별잔가율: 건물의 경과연수에 따라 적용되는 잔가율로, 건물의 내구성과 수명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 개별건물의 특성에 따른 조정률: 건물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조정률로, 건물의 외관, 내부시설, 관리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건물기준시가 예시
예를 들어, 2021년에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주거용 건물을 신축하였고, 면적이 100㎡이고, 위치지수가 1.1이고, 경과연수별잔가율이 0.95이고, 개별건물의 특성에 따른 조정률이 1.05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건물기준시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기준시가 = 100 × ㎡당 금액
- ㎡당 금액 = 740,000 × 1.0 × 1.0 × 1.1 × 0.95 × 1.05
- ㎡당 금액 = 855,015 (1,000원 단위 미만은 버림)
- 기준시가 = 100 × 855,015
- 기준시가 = 85,501,500
이렇게 건물기준시가는 건물의 면적, 구조, 용도, 위치, 경과연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건물기준시가는 매년 국세청이 고시하므로, 최신의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건물기준시가를 조회하시려면, Wetax 위택스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개보조원이란 무엇인가? (0) | 2023.11.05 |
---|---|
행정중심복합도시란 무엇인가? (0) | 2023.11.05 |
공공분양주택이란 무엇인가? (0) | 2023.11.05 |
공작물이란 무엇인가? (0) | 2023.11.05 |
장기공공임대주택이란 무엇인가? (0)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