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용어

중심상업지역이란 무엇인가?

by WABI SABI 2023. 11. 4.
반응형
SMALL

중심상업지역이란 무엇인가?

 

중심상업지역이란?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상업지역’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상업지역은 상업이나 그 밖의 업무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으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 군관리계획으로 결정, 고시된 지역을 말합니다.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공업지역과의 관련성을 기초로 하여 생활권 계획상 중심지역에 생활편익시설, 중심업무시설 등과 연계하여 유기적으로 배치하고 이용의 편리성 및 업무수행의 능률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정됩니다.

상업지역은 다시 중심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중심상업지역은 도시의 상업 및 업무 기능을 가장 대표하는 지역으로, 도심과 부도심의 상업기능 및 업무기능의 확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심상업지역의 정의, 특징, 설치 가능한 시설, 지정 기준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중심상업지역의 정의

  • 해당 도시의 모든 지역으로부터 접근이 용이하고 대중교통수단의 이용이 편리한 지역으로서 도시, 군기본계획상 도시의 중심지역으로 선정된 지역
  • 고밀화, 고도화에 적합한 지형의 조건과 주차, 휴식을 위한 오픈스페이스 및 기반시설의 확보가 용이하여 신도시의 중심지역으로 개발할 지역 등

중심상업지역은 국토교통부장관과 시, 도지사 또는 대도시(특별시, 광역시 및 지방자치법 법률상 인구 50만명 이상의 도시) 시장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



중심상업지역의 특징

 
  • 건폐율과 용적률이 각각 90% 이하, 400% 이상 1500% 이하로 여타 상업지역 중 가장 높습니다. 건폐율은 건축물의 바닥면적이 대지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고, 용적률은 건축물의 총 연면적이 대지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건축물의 규모와 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설치 가능한 시설로는 제1종 및 제2종 근린생활시설을 포함해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방송통신시설, 위락시설, 발전시설, 의료시설, 운동시설 등이 있습니다. 다만 상업지역임에도 도시, 군계획조례로 정하는 단독주택으로 다른 용도와 복합된 건축물이나, 또는 공동주택과 주거용 외의 용도가 복합된 건축물이라면 설치가 가능합니다.
  • 중심상업지역은 도시의 상업 및 업무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문화, 교육, 연구, 행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도시의 상징성과 이미지를 표현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LIST

'부동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경지역이란 무엇인가?  (0) 2023.11.04
빌딩관리사란 무엇인가?  (0) 2023.11.04
농업법인이란 무엇인가?  (0) 2023.11.04
토지형질변경이란 무엇인가?  (0) 2023.11.04
재결이란 무엇인가?  (0) 202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