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용어

원상회복의무란 무엇인가?

by WABI SABI 2023. 12. 28.
반응형
SMALL

원상회복의무란 무엇인가?

 

원상회복의무란?

부동산 임대차계약을 맺을 때, 임차인은 임대기간이 끝나면 임대물건을 임대인에게 반환해야 합니다. 이때 임차인은 임대물건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 놓는 의무를 갖습니다. 이를 원상회복의무라고 부릅니다. 원상회복의무는 민법에 규정된 임차인의 기본적인 의무로, 임차인이 임대물건을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사용하고, 임대인에게 원상으로 회복하여 반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상회복의무의 범위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원상회복의무의 범위는 당사자간의 약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임대차계약서에 원상회복의무의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경우에는 그에 따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임차인이 임대물건에 부가한 시설물을 철거하거나, 임대인이 원상회복을 면제하거나, 임차인이 원상회복비용을 부담하거나 하는 등의 약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약정을 존중해야 합니다.

하지만 임대차계약서에 원상회복의무에 관한 약정이 없거나, 약정이 모호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는 법률과 판례에 따라 원상회복의무의 범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법률에는 임차인이 임대물건을 원상에 회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원상회복의무의 구체적인 범위에 대해서는 자세히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판례를 통해 원상회복의무의 범위를 해석해야 합니다.

 


판례에 따르면, 원상회복이란 임차인이 임대물건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임차인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임대물건의 상태 악화나 가치 감소를 의미하는 통상의 손모에 관해서는 임차인의 귀책사유가 없으므로 원상회복의무의 범위에서 제외됩니다. 예를 들어, 벽지나 장판의 색이 바래거나, 가구를 놓았던 자국이 생기거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생활 기스 등은 통상의 손모에 해당되어 임차인이 책임을 질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임차인의 과실로 인해 임대물건이 파손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원상회복의무의 범위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가구나 벽지를 물거나 긁거나, 물건을 옮기거나 떨어뜨려서 바닥이나 벽이 깊이 패거나, 출입문이나 창문이 손상되거나, 내부시설을 개조하거나 변경한 경우 등은 임차인이 수리하거나 보수하여 원상으로 회복해야 합니다.



원상회복의무와 임대보증금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원상회복의무와 임대보증금은 동시이행관계에 있습니다. 즉, 임차인은 임대물건을 원상으로 회복하여 임대인에게 반환하고, 임대인은 임대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해야 합니다. 만약 임차인이 원상회복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임대인은 임대보증금에서 원상회복비용을 공제하거나, 임대인이 원상회복을 하고 그 비용을 임차인에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임대보증금은 임대차와 관련된 차임, 관리비, 원상회복 등을 담보하기 위해 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원상회복의무를 준수하기 위한 팁은 무엇인가?

원상회복의무는 임대차계약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임대차계약을 맺을 때, 임차인과 임대인은 원상회복의무의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약정하고, 임대차계약서에 기재하고 서명해야 합니다. 또한 임차인은 임대물건에 입주하기 전에 사진을 촬영해두어, 임대차 종료 시 임대물건의 원상회복 기준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물건을 반환할 때, 임대물건의 상태를 점검하고, 원상회복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즉시 임차인에게 알리고, 임대보증금에서 공제하거나 청구해야 합니다. 임차인과 임대인이 원상회복의무에 대해 충분히 소통하고 합의하면, 임대차 관련 분쟁을 예방하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LIST